자바 기반의 여러 Template엔진이 있습니다.

 기본적으로 쓰는 JSP+JSTL, Velocity, Freemaker, Thymeleaf, Mustache, Jade 등 여려가지가 있는데 저는 Thymeleaf를 쓰도록 하겠습니다..

왜냐면...... 그냥 Spring에서 밀어주기도 하고 그냥...  써보고 싶었습니다. -_-;;

Thymeleaf 3 버전도 나왔지만 저는 2.1.4 버전을 쓰도록 하겠습니다...

아직 thymeleaf-layout-dialect (layout)을 제대로 지원을 안해주는지 제가 잘 모르는건지.. 어쨌든 그렇습니다.


** 다른 Template 엔진 쓸꺼면 패스해도 됩니다.


pom.xml 에  추가를 해줍니다.


그리고 webapp/WEB-INF/spring/appServlet/servlet-context.xml을 수정합니다.

기존에 있는 ViewResolver을 삭제하고 


Thymeleaf ViewResolver를 등록합니다.


그리고 기존의 home.jsp(삭제해도 상관 없음) 대신 home.html을 생성한다.


home.html 의 내용은

으로 만든다음.

http://localhost:8080/example/ 접속 해보면 잘 나올겁니다.


!!! Thymeleaf는 태그유효성 체크가 매우 엄격하다. 따라서 반드시 닫는 태그를 달아준다. !!!


+ Recent posts